대학교 수업인 "인지과학제문제" 수업을 하면서 MAXQDA라는 통계프로그램으로 개인프로젝트를 진행했었습니다.
MAXQDA에 대한 기본 설명에 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MAXQDA은 일체형 질적분석 소프트웨어입니다. 즉 모든 데이터를 한 곳에서 처리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MAXQDA는 유료 소프트웨어라 구매를 해야합니다. 저는 학교수업에서 교수님에 의하여 타학우님들과 같이 구입을 했었기 때문에 이용가능했습니다.
구매 후 시리얼 넘버와 이름, 메일을 입력하면 위와 같은 창이 뜨는데 New project를 눌러 새작업을 시작합니다.
창(1)은 문서시스템이 나타나고 창(2)는 우리가 작업하게 될 문서 브라우져, 창(3)은 코드시스템, 창(4)는 검색된 새그먼트가 나타납니다.
문서시스템: 작업하려는 모든 파일을 끌어와서 보기 쉽게 해줍니다.
코드시스템: 코드 및 하위 코드를 사용할 때 관리하기 편하게 도와줍니다.
문서 브라우져: 데이터를 확인하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
검색된 새그먼트: 검색 결과가 표시됩니다.
1. 데이터 가져오기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수집했던 인터뷰자료를 이용해서 연습을 해보았습니다. 데이터를 가져올때 마우스 커서로 파일을 끌고 와도 되고 문서에서 오른쪽 버튼을 눌러 import Document(s)를 눌러 가져올 수 있습니다.
2. 데이터 탐색하기
문서시스템에서 문서 브라우저를 열고 문서의 대략적인 내용을 파악합니다.
각 줄의 오른쪽 마우스키를 눌러 메모를 쓸수 있는데 실제 포스트잇처럼 메모, 기록을 작성하여 텍스트, 텍스트 세그먼트, 문서 그룹, 이미지, 오디오 또는 비디오 파일 및 코드에 첨부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 그림은 기존에 가지고 있던 파일가지고 코딩을 한번 해보았습니다. 각 줄마다 코딩할 수 있고, 전체 단락을 아울러서 코딩을 할 수 있습니다.
3. 데이터 코딩하기
코딩이란, 예를 들면 단락 또는 이미지의 일부 등의 데이터 자료의 일부를 (워드 등의 프로그램에서와 같이) 마우스로 선택하는, 또 이에 코드를 할당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기본적으로 컨텐츠에 태그를 거는 것과 같지만 경험적 사회 연구에서의 코딩은 그 이상의 것들을 포함합니다.
질적연구 관련 맥락에서, 코드는 텍스트나 이미지에서 현상의 이름을 지정하는 데 사용되는 라벨에 가깝습니다.
4. 문서 활성화하기
분석을 위해 문서(및/또는 코드)를 선택한 뒤 선택한 항목으로만 작업할 수 있습니다. 문서 위에 마우스를 두고 오른쪽 클릭하여 활성화 버튼을 눌르면 이름 앞 회색 원이 빨간색 화살표로 바뀌어 표시되고 파일이 빨갛게 변합니다.
하단을 보면 활성화된 왼쪽부터 활성화된 문서의 수, 활성화된 코드의 수, 코딩된 세그먼트 수가 표시됩니다.
5. 시각화 사용하기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시각적 도구는 “시각 도구” 탭에서 열 수 있는 코드 매트릭스 브라우저라고 합니다.
시각화로 대략적으로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도와줍니다.
이상으로 간단하게 MAXQDA의 사용법에 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면서 포스팅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