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W Expert Academy에서 학습용으로 문제를 가져왔습니다. 문제가 될 시 수정, 삭제하겠습니다.
https://swexpertacademy.com/main/main.do
문제 : 리스트의 원소를 키로 하고, 그 원소의 length를 값으로 갖는 딕셔너리 객체를 생성하는 코드를 작성해봅시다.
이 때 딕셔너리 내포 기능을 사용하며, 원소의 공백은 제거합니다.
리스트 fruit는 다음과 같습니다. fruit = [' apple ','banana',' melon']
input
output
{'apple': 5, 'banana': 6, 'melon': 5}
code
fruit = [' apple ','banana',' melon']
new_fruit={fruit[i].strip():len(fruit[i].strip()) for i in range(0,len(fruit))}
print(new_fruit)
공백을 제거하는 strip함수를 이용해 fruit 리스트의 공백을 제거해주고 len함수로 values의 길이를 측정해준다.
반응형
'Programming > SW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EA 6259].[파이썬 프로그래밍 기초(2) 파이썬의 기본 응용] 3. 자료구조 - 셋, 딕셔너리 7 (0) | 2021.07.27 |
---|---|
[SWEA 6258].[파이썬 프로그래밍 기초(2) 파이썬의 기본 응용] 3. 자료구조 - 셋, 딕셔너리 6 (0) | 2021.07.27 |
[SWEA 6256].[파이썬 프로그래밍 기초(2) 파이썬의 기본 응용] 3. 자료구조 - 셋, 딕셔너리 4 (0) | 2021.07.27 |
[SWEA 6255].[파이썬 프로그래밍 기초(2) 파이썬의 기본 응용] 3. 자료구조 - 셋, 딕셔너리 3 (0) | 2021.07.26 |
[SWEA 6254].[파이썬 프로그래밍 기초(2) 파이썬의 기본 응용] 3. 자료구조 - 셋, 딕셔너리 2 (0) | 2021.07.26 |